반응형
SMALL

Linux 3

리눅스마스터 2급 공부기록

1. SET-GID는 권한이 설정된 디렉토리에 사용자들이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생성하면, 그 사용자가 속한 그룹에 무관하게 디렉토리 소유 그룹으로 만들어짐 (o) 2. /tmp 의 파일은 Sticky Bit 권한으로 일시적 파일 생성 및 삭제가 필요할 때 주로 이용 3. 소유그룹을 변경하는 chgrp 명령어를 이용하여 원본파일의 소유권은 그대로 둔 채, 심볼릭 파일 링크의 소유권만 변경하려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chgrp -R 4. 리눅스 배포판의 종류 - 데비안계열 : 우분투 -> 패키지관리 : dpkg, apt-get - 레드햇계열 : Fedora , CentOS, RHEL -> 패키지관리 : rpm , yum - 슬랙웨어계열 : SuSE, SalixOS -> 패키지 관리 : zypper 5. rpm ..

IT/Linux 2020.12.12

02. 리눅스 에디터

gedit X윈도에서 자동으로 제공해주는 에디터 ( ** X윈도우란 ? 유닉스 운영체제에서 주로 사용되는 윈도우 시스템으로, 디스플레이 장치에 창을 표시하며, 입출력장치의 상호작용을 관리하는 등 GUI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 / 서버-클라이언트 모델을 기본으로 하며,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존적이지 않기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다르게 작동할 수 있음 ! ) X윈도 기반이므로 gedit은 X윈도를 사용하지않는 모드에서는 사용 불가 VIM(Vi improved) 기존 vi의 upgrade 된 버전이다 리눅스에는 현재 기본적으로 vim 에디터가 탑재되어있다 (명령어로 vi 를 실행해도 vim이 실행됨 ! ) Vi vs VIM vi 는 유닉스 시스템에서만 사용가능하지만 vim 은 운..

IT/Linux 2020.12.10

01. 쉘의 역사 , 특징

#1. 쉘의 역사, 특징 1) bourne shell ( /bin/sh ) - Steve Bourne이 만든 쉘로, 초기 유닉스 운영체제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였고 현재에도 사용중이다. - POSIX(Portable Operating System Interface for Computer Enviroment) 표준쉘로도 정해져서 posix shell로 불리기도 하였다. - 입출력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과 Expression 보유 2) Cshell - 썬 마이크로시스템즈가 개발 - Alias , History, Job Control 기능 처음 도입 3. TC Shell (tcsh) - Cshell의 기능 보완 - command line editing, spelling correction, login/logo..

IT/Linux 2020.12.10
반응형
LIST